SEJONG HOUSE

ARCHITECTURE. 세종시 도담동 주택


매우 반가운 의뢰였다.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의 촬영은 다양한 방면으로 유리한 점들이 있다. 일단 현장을 자주 방문할 수 있다는 것과 건축주와 좀 더 친밀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진은 빛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서 피사체의 모습을 매우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을 자주 방문한다는 것은 그만큼 건축물의 모습을 다채롭게 담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현장은 집과 가까웠기 때문에 지나가다가도 현장을 방문하여 촬영을 진행했다. 이런 작업이 가능했던 이유는 건축주께서 사진 촬영에 있어서 매우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세종시 도담동 주택은 곡선을 좋아하고 그린 인테리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얼라이브어스(Aliveus)에서 설계를 진행했다. 건축에서 곡선은 대형 건축물이나 공공건축물이 아니면 만나기 쉬운 형태는 아니다. 그런 디자인을 주택에 적용했다는 것에 신선했고 놀라웠다. 주택 외부와 내부 마당인 중정에서의 조경 또한 일반적인 주택에서 만날 수 없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선사한다. 이는 설계자가 의도한 도담동 주택의 건축 이야기가 되는 셈이다. 건축주는 주택이라는 공간을 안과 밖에서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우리는 때때로 넓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너무 많은 것을 놓치는 경우가 있다. 넓은 거실, 넓은 주방, 넓은 방과 같은 크기에서 오는 욕심은 실질적으로 삶을 사는 데 있어서 큰 만족감을 제공하지 못한다. 삶의 경험은 넓이가 아니라 균형에서 오는 것이다. 자연과의 균형, 가족 구성원 간의 균형, 거주 공간과 비거주 공간의 균형이 잘 맞춰져야지만 그 속에서 균형 있는 행복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현장은 그런 균형들이 적절하게 잘 분배되어 있는 모습이었다.


사진을 촬영하면서도 건축의 입면에 놀라고 내부 공간의 재미에 흠뻑 빠져있었던 것 같다. 이번 현장에서의 포인트는 도담동 주택의 색온도와 곡선으로 사진을 보면서 즐거운 건축 여행이 되길 희망한다.



Edited by 포토그랩 | Designed by Aliveus | Photo by 김진철


Instagram. @fotoglab_official

Photo by. kim jin cheol (@rawkkim)



포토그랩 아카이브

FOTOGLAB ARCHIVE


건축사진 촬영문의





0
클릭하시면 이니시스 결제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이니시스 결제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